본문 바로가기

게임/디아블로4

디아블로4 시즌7 마녀술 세팅과 입수 방법

반응형

시즌7 마녀술


디아블로4 시즌7 마녀술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디아블로 4 시즌7에서 즐길 수 있는 마녀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 텐데요, 마녀술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자주 사용하는 마녀술 종류와 따로 해금해야 하는 마녀술은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 간단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그럼 차근차근 읽어주세요!

 

 

 


 

 

 

마녀술 해금


마녀술은 25종이 있는데 그중 4종은 따로 던전 탐험을 해서 얻을수 있답니다. 아마 캐릭터 레벨업을 하면서 고행 2 난이도가 넘도록 해도 안 나와서 의아할 수도 있는데요, 개인적으로 고행 4 지역의 악던이나, 필드의 일반 던전 아니면 나락을 추천드려요. 저는 나락 70단에서 입수를 하였는데요.

 

잊힌 제단

이렇게 잊힌 제단이라고 해서 필드를 돌다보면 등장한답니다. 미니맵에도 확인이 되고 이걸 클릭을 하게 되면

 

마녀술 해금

이렇게 신규 능력을 해제할 수 있어요. 잊힌 제단 나올 확률은 고행 1이 1% 고행 2가 2% 고행 3이 3% 고행 4가 5%로 가장 중요한 건 속삭임 물약을 먹고 고행 4단 이상되는 나락을 돌거나 고행 4단의 악던, 필드 일반 던전을 도는 게 빨리 해금할 수 있는 방법이랍니다. 속삭임의 물약은 1시간 동안 잊힌 제단이 나올 확률이 두 배가 되니까 고행 4단에서 파밍 하는 방식이 좋다고 할 수 있답니다.

 

 

 


 

 

 

 

마녀술 종류와 많이 사용하는 마녀술



 
 

마녀술은 이렇게 25종이 준비되어 있는데요, 밑에 보이는 마녀단의 숨결부터 사술 전문화, 오라전문화, 피라냐 회오리 이렇게 4종은 위에 말한 대로 던전에서 등장하는 잊힌 제단으로 입수할 수 있고 나머지 마녀술은 속삭임 나무 옆에 있는 상인에게서 구매할수 있답니다. 쉽게 말해 퀘스트를 하다보면  어렵지 않게 구매할수 있고 던전에서 구할수 있는 4종의 해금이 조금 시간이 걸린다고 할수 있어요. 보통 방어를 위해 많이 사용하는 마녀술은 황혼의 수호와 파쇄의 사술인데요. 이 두 개만 넣어놔도 보호막과 피해감소 효과로 고행 4단까지 무리 없이 진행할 수 있고 마녀술 업글로 인해 고행4단에서도 크게 도움이 되는 마녀술이라고 할수 있답니다. 제압 피해를 쓰는 캐릭터들에게는 의지의 힘과 마녀단의 숨결을 같이 넣어주면 좋은데요, 공속과 제압피해를 더 챙길 수 있어 좋답니다. 특히 의지의 힘 제압 피해는 곱연산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제압을 쓰는 캐릭터들에게 특히 좋다고 할 수 있어요. 정복자 레벨 전까지 레벨링 과정이라면 위에 소개한 황혼의 수호와 파쇄의 사술에 흡수의 오라까지 넣어주면 고행 1단까지는 가만히 있어도 몬스터가 오라 맞고 죽어서 빠른 레벨업을 하는 경험을 할 수도 있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황혼의 수호와 파쇄의 사술을 넣어 방어 쪽에 신경은 쓴 후에 나머지 세 개를 공격 쪽 마녀술로 맞추는 게 가장 무난하고 고유 마녀술 같은 경우는 파멸의 보주나 피라니아 회오리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걸 볼 수 있답니다. 마녀술은 시즌캐릭터 공유가 되어서 업그레이드해놓은 만큼 부캐로 접속해도 똑같이 사용할 수 있으니 이 부분도 참고해 주면 좋을 것 같아요. 마녀술 업그레이드 방법은 지도에 녹색지역으로 표시되는 머리사냥지역에서 몬스터를 처치할 시 떨어지는 쉼 없는 부패로 업그레이드 가능하답니다. 본인 스타일에 맞게 마녀술도 이것저것 착용해 보면서 플레이하다 보면 어떤 마녀술이 도움이 되는지 금방 알 수 있으니 방어 쪽 마녀술 두 개 빼고 피해 쪽 마녀술은 이것저것 교체해 가며 플레이해보시길 추천드려요. 거기에 마녀술은 악세에 박아놓을 수 있는 마녀술 보석과도 연계가 되지만 이 부분은 아직 시즌 초반인 관계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없어서 추후 업데이트 하도록 할게요!

 

 

 

디아블로 4 시즌 7 무한 화살비 도적 빌드 세팅

디아블로 4 시즌7 무한 화살비 도적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디아블로 4 시즌7에서 엄청나게 강력해진 화살비 빌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개인적으로 시즌5부터 무한 화살비 빌드를

kounn.tistory.com

 

반응형